캐나다에 왜 한국 '난민' 신청자가 많을까? 얼마전 캐나다 토론토에서 한국으로 강제 추방된 E양 모녀의 안타까운 사연을 소개한 바 있습니다. 토론토의 '최강지' (는 한겨레의 경향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조선일보만큼의 영향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최강 일간지라 할 만합니다)에 모두 세 차례에 걸쳐 대서특필되었고, 그것을 보고 제 블로그에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 캐나다는 난민을 받아들여 이런 저런 혜택을 주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잘 모르겠으나, 이곳에 살기에 부족하지 않은 지원금과 교육 의료 등 각종 혜택을 주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과거, 남미 반정부군의 아내가 캐나다에 난민으로 넘어와서, 난민에게 지급되는 지원금을 자기 나라 '반정부 활동' 자금으로 써서 문제가 된 적도 있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저는 난민을 모두 3명 만났습니다. 영어학교에서 만난 .. 더보기 먼저 때린 白, 코뼈 부순 韓학생 '화해' 지난 4월 캐나다 온타리오주 케스윅이라는 소도시의 한 고교에서 한인 학생과 백인 학생간의 주먹다짐이 벌어졌습니다. 인종차별 논란으로 비하한 이 논란이 보기 좋게 마무리되어 가고 있습니다. 인종차별적인 욕설을 퍼부으면서 한국 학생을 먼저 때린 백인 학생이 부모와 함께 한국 학생 가족을 찾아가 사과를 했으며, 한국 부모들은 이를 받아들였다고 합니다. 경찰이 한국 학생에 대해서만 기소한 데 대해 전교생이 검은 옷을 입고 항의했고, 급기야 캐나다 신문에 사건이 대서특필되자, 온타리오 경찰이 재조사에 나섰습니다. 온타리오 경찰은 "일방적 수사였다. 기소를 취소하도록 하겠다"며 실수를 인정했군요. 학교 당국도 두 학생에게 내려진 정학 처분을 철회했다고 합니다. 인종차별 문제가 종종 발생하지만, 이번처럼 좋은 모습으.. 더보기 한국 외교관은 '문화 탈레반'이었다 ROM(Royal Ontario Museum)은 한국의 국립중앙박물관이 그렇듯 캐나다를 대표하는 박물관으로서 캐나다의 자랑거리이다. 또 영국 런던의 대영박물관, 프랑스 파리의 루브르, 미국 뉴욕의 매트로폴리탄미술관이 그렇듯, 캐나다 토론토의 ROM에는 미술 애호가와 관광객들로 언제나 들끓는다. 토론토 시민뿐 아니라 세계 각국 사람들이 토론토에 들르면 가장 즐겨 찾는 곳인 만큼, 문화 예술로 국가를 홍보하기에는 미술관만큼 효과적인 곳도 드물다. ROM에는 1999년 한국관이 들어섰다. 한국의 코리아파운데이션에서 기부한 70만달러를 받아 한국관을 설립하고, ROM이 소장한 한국 유물들을 한 자리에 모아 전시했었다. 한국 도자기 수집가인 어느 캐나다 사람의 후손이, 수집품을 모두 기증하여 ROM 한국관은 한.. 더보기 평양냉면에 담긴 슬픈 분단 가족사 어제 평소 가깝게 지내는 대학 대선배님과 저녁을 함께 하며, 평양 출신인 그 분의 비극적인 가족사에 대해 들었습니다. 가족사를 듣기 위한 자리는 아니었으나 냉면 이야기를 시작으로 60년 전의 이야기가 끊임없이 흘러나왔습니다. 흘러나왔다기보다는, 역사와 사람 이야기에 관심이 많은 제가 계속 질문을 드렸던 것이지요. 그 분의 가족은 1948년께 평양에서 서울로 내려왔습니다. 당시 그 분의 나이는 5~6세였을 겁니다. 그 분은 지금도 서울에 들어갈 때면, 하루 한 끼는 꼭 냉면으로 해결한다고 했습니다(냉면 하면 통상 평양 물냉면, 함흥 비빔냉면을 말하지만, 냉면을 아는 사람이나 평양 사람들은 함흥 냉면을 냉면으로 여기지 않습니다. 고저, 우리네끼린, 냉면 하면 평양 물냉면을 말합니다). 토론토에서는 냉면다.. 더보기 이전 1 ··· 78 79 80 81 82 83 84 ··· 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