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 예술 문학

세시봉 콘서트, 30년을 기다려 보다



  한국에서 설 특집으로 방송된 세시봉 콘서트 두 편을 막 끝마쳤습니다. 1970년대 중반 중학교 2학년 때부터 가요를 듣기 시작했는데(들리는 것을 들은 것이 아니라 찾아들었다는 의미에서), 그때 처음 들은 노래가 바로 이들이 부른 것들이었습니다. 당시 송창식은 유일하게 살아남아서(1975년 포크와 록 음악을 작살낸 대마초 파동으로부터) 가왕의 자리에 올랐으나 윤형주 김세환 이장희는 사라졌고, 조영남은 공부하러 미국으로 사라졌습니다.

   김민기 곡으로 철퇴를 맞은 양희은은 이주원과 만나 <내 님의 사랑은> <들길 따라서>를 부르던 시절이었습니다. 1974년 무렵 <한 잔의 추억>을, 마이크를 달랑 거리며 부르던 모습을 마지막으로 이장희는 완전히 사라졌습니다. 1978년 잠시 컴백했으나 그것은 사랑과평화에게 <한 동안 뜸했었지>를 주며 프로듀싱한 것이었고 무대에서는 모습을 감추었습니다.

   중고교 시절, 형 누나의 영향도 있었겠으나 이상하게 이들의 노래를 많이 들었습니다. 트윈폴리오의 1968년 음반이 있었고(지금도 물론 가지고 있습니다), 송창식의 음반을 보이는 대로모았으며, 조영남의 이대 강당 공연(학비를 벌기 위해 열었던) 실황 음반도 가지고 있습니다. <어제 내린 비>가 좋아서 사모으기 시작한 윤형주의 음반은 <바보>에 이어, 펄시스터즈의 배인숙에게 준 <아무 일도 없던 것처럼>까지 갖게 되었습니다. 양희은은 말할 것도 없고, 김민기 조동진 한대수 양병집 서유석 이연실 김광희에 이르기까지 이른바 포크라 불리던 음반은 보이는 대로 사고 들으며 살아왔습니다. 지난번 서울에 갔을 때, 이장희의 음반이 눈에 띄길래 냉큼 집어오기도 했습니다. 김세환은 이상하게도 나와 맞지 않았습니다. 미안한 말이지만 개성이 없어보여서 그랬을 겁니다. 저들의 음반을 꺼내 사진을 찍어 올리려다 포기했습니다. 수십장에 달해서 정리해 올리기가 어렵습니다.


  고교 2학년 때인 1980년 서울에 잠시 '봄'이 왔습니다. 그때 가수들이 무더기로 풀려났습니다. 그 가운데 신중현 조용필이 있었고, 윤형주가 돌아왔습니다. 바로 그때 윤형주가 <바보>라는 음반을 냈을 겁니다.

  가수들이 막 풀려나 활동을 하던 그즈음, 가뭄에 콩나듯 방송에 전설의 포크 가수들이 등장했습니다. 우리 친구들이 모이기만 하면 부르던 바로 그 노래의 주인공들이었습니다. 송창식은 늘 보였고, 윤형주와 김세환이 나타났고 양희은 또한 드문드문 보였습니다.

  텔레비전에서 그들은 가끔씩 이합집산했습니다. 둘이 모이거나 셋이 모이거나 하면서... 그러나 윤형주는 흔쾌한 표정을 별로 보인 적이 없습니다. 내가 보기에 그렇다는 겁니다. 그때 품었던 궁금증이 '왜 나 같은 팬들이 이렇게 많은데 저들은 한 자리에 모이지 않을까?' 하는 것이었습니다. 지금 돌이켜보니, 저들은 나이 30대 중후반의 한창 나이였고, 가장 바쁘고, 가장 까칠한 시절이었을 것입니다. 세상사에 바쁘고 세상과 서로에게 까칠하고 하여 만나지 못했을 것입니다. 이 역시 지금 하는, 순전히 나의 생각입니다.

  저들이 한 무대에서 어울리는 공연은, 저들의 음악을 듣고 자란 세대라면 누구나 희구해온 꿈이었을 것입니다. 참, 그런데 살다 보니 별 일 다 생깁니다. 저들로도 모자라 양희은이 모습을 보였고, 전설 속의 이장희가 나타나 노래를 선사했습니다. 이장희는 1974년께 TBC에서 본 이후 처음입니다.

  
 

  내 머리가 벌써 반백이 되었으니, 나보다 스무살 더 먹은 저들이 늙어보이는 것은 당연합니다. 너무도 다행스러운 것은, 저들 그룹 가운데 세상을 뜬 이가 한 사람도 없어서 저렇게 한 자리에 모여 공연을 가질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나이가 들어, 예전보다는 조금 덜 바쁘고 세상사에 대한 까칠함이 사라지고 서로에게 여유도 생겨 저렇게 잘 모여 잘 어울리는 것 같습니다. 저렇게 모일 걸, 진작에 좀 하지 하는 아쉬움은 있었으나 오랜만에 나이 들어 '우리의 공연'을 본 느낌입니다. 요즘 유행중인 이른바 7080과는 차원이 다른 것이었습니다. 원조는 확실히 다릅니다.

  어릴 적부터 흥얼거리던 노래의 주인공들이다 보니, 기자가 되었을 때 만날 기회를 거의 일부러 만들다시피 했습니다. 윤형주 송창식 양희은 조영남을 만났습니다.

  텔레비전에서 비치는 이미지와는 많이 달랐습니다. 까다로울 것 같던 윤형주는  따뜻하고 친절한 사람이었습니다. 나는 7080 문화의 씨를 윤형주가 뿌렸다고 생각합니다. 그때가 1993년께인데, 윤형주가 교통방송에서 매일 70년대의 노래를 들려주는 프로그램을 진행했습니다. 노래도 좋았거니와 방송 내용 또한 감동 그 자체였습니다. 라디오의 가수 DJ로서 젊은 시절 이미  명성을 떨쳤던 터이니, 그 후에도 가장 앞설 수밖에 없었을 것입니다. 그 프로그램을 흉내내어 양희경이 MBC라디오에서 비슷한 프로그램을 진행했습니다. 그 프로그램을 만든 이가 박혜영 PD로 나중에 배철수의 부인이 되었습니다. 7080을 배철수가 진행하는 것에는 이런 뿌리가 있어 보입니다. 사실이야 어떻든...

  수더분해 보이던 송창식과 조영남은 오히려 그런 이미지와는 거리가 멀었습니다. 그들의 음악과 미술이 일상 속의 까다로움에서 나오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나는 저들이 방송에서 당분간 만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주 보면 식상해질까 봐 두렵기 때문입니다.

  대신 라이브 공연을 많이 하기를 바랍니다. 한국에서 찾기 어려운 명품 공연이 될 것입니다. 사이먼과가펑클의 뉴욕 샌트럴팍 공연, 이글스의 재결합 공연을 부러워 할 일이 아닙니다. 서로가 가진 고집을 꺾고 한 무대에 선 저이들은 한 나라 문화의 물꼬를 돌렸다는 의미에서 서양의 여타 뮤지션보다 훨씬 위대합니다. 서태지는 별 내용없이 전설이 되었으나, 저들은 기타만 잡으면 줄줄 나오는 고전을 가지고 전설이 되었습니다. 한국 신세대의 제1세대인 것입니다. 

 저이들의 라이브가 명품 공연이 되어 북미 지역 투어를 오면 더 바랄 나위가 없겠습니다. 토론토에서라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으나 뉴욕에서 한다 해도 달려가겠습니다. 블로그에 공연평을 쓸 수 있기를, 다시금 꿈을 꾸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