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람 이야기

캐나다 시각으로 본 한국의 '루저 논란'


  



  이 글 바로 전에 올린 '또 마녀사냥에 나선 진짜 루저들'이라는 글에 대해 캐나다 애드먼튼에 사는 후배 김상현씨가 진지한 내용을 댓글로 달았습니다. 루저 논란에 대해 캐나다, 곧 한국의 바깥에서 보는 냉정하고 의미 있는 시각이다 싶어 이 글을 다시 포스팅, 발행합니다. 

  

   하하. 재밌는 글 올리셨네요. 저는 이게 무슨 얘긴가 하고 잠시 뜨악했습니다. 루저 발언 파문? 웹에서 찾아보니 "(180cm 이하의) 키 작은 남자는 루저라고 생각한다"라고 한 여대생의 말이더군요. 제 주관적인 생각과 질문 몇 가지:

1. 도대체 이게 왜 문제가 될까요? 그렇게 생각할 수 있는 거지. 그렇지 않다고 보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이건 어디까지나 그 여대생의 생각 아닌가요? 흠, 너는 그런 생각을 하는구나. 참 독특한 생각이구나, 라고 혀 몇번 끌끌 차면 그만이지 침소봉대할 만한 사안은 전혀 될 수 없다고 봅니다.

2. 그 전에, 위와 같은 시덥지도 않은 발언에 발끈하는 그 수많은 - 아마도 대부분은 저처럼 - 키작은 인간들이 도대체 왜 이 프로그램 '미수다' - 저는 이 말이 뭔지도 몰라서 헤맸습니다만 -의 컨셉 자체에 문제를 제기하지 않았는지 이해하지 못하겠습니다. 미수다가 미녀들의 수다를 줄인 말이라면서요? 그러면 이 프로그램의 태생 자체가 불순하고 부도덕하고 그릇된 것 아닙니까? 아무리 이미지와 비주얼에 짓눌려 사는 세태라지만 '미녀'들의 수다라? 그러면 거기에 출연하지 못한 사람들은 미녀가 못되니까 루저? '미녀들의 수다'라는 그 프로그램의 기본 발상이 지극한 상업주의와, 이제는 한국을 비롯한 모든 나라 대중문화의 기본 출발점이 되곤 하는 성의 상품화에 있다는 데 눈길을 준다면, 루저 발언 하나 갖고 방방 뜨는 인간들의 이중성이야말로 비웃음의 대상이 돼야 하지 않을까요?

3. 그 방송이 생방송이었다면 모르지만 녹화였다면 얼마든지 편집할 수 있었을텐데 그러지 않은 데 대해 저는 그 제작진의 양식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군요. 하긴 그러한 '양식'이 있었다면 애초부터 '미수다'라는 골 때리는 컨셉 자체가 가능하지 않았겠지요. 그런 프로그램을 승인한 윗대가리 인간들의 승인 기준도 오직 '시청률', 그것 참 섹시하겠는데? 라는 상업적 동기에 있었을테고...


관련 사진을 다시 찾다보니, 발언 당사자의 '적당한 사진'을 도저히 찾을 수 없었습니다. 얼굴을 가렸으나 이름 학교 학과가 모두 공개되었기 때문입니다. 살인자의 얼굴도 가려주는 판인데, 하물며 죄도 짓지 않은 사람의 사진을 이렇게까지 공개하는 것은 한 개인에 대한 사회의 살인 행위와 다를 바 없다고 생각합니다. 


4. 한국 사회의 위선성이 지난 몇 년 동안 그야말로 더이상 눈 뜨고 볼 수 없을 지경으로 증폭되었다는 것을 이번 '루저 파문'을 통해 다시 확인하게 됩니다. 한국의 신문, 방송 사이트에 들어가보셨죠? 그게 대체 언론 사이트입니까? 길거리에서 뿌리는 찌라시도 그보다는 더 정돈되어 있고, 그보다는 더 일관성이 있습니다. 사회의 윤리와 양식이 추락했음을 질타하는 근엄한 논설 주위로, 아니 종종 한 가운데까지, 옷이 없어 벌거벗은 불쌍한 아가씨들이 촘촘하게 포위하고 있는 그 충격적인 풍경.

한국 저널리즘의 수준이 얼마나 비참하게 추락했는지를 보여주는 또 한 가지 사례. 사진에 뻔히 대학 이름, 학생 이름까지 다 나와 있는데도 지우지 않았습니다. 그저 시늉으로 얼굴을 모자이크 처리한 정도. 그래놓고는 본문에서 아주 예의를 차리는 척, H대 이모씨랍니다. 도대체 어느 언론사야? 하고 내려가보니 중앙일보입니다. 중앙일보라면 한국에서 이른바 '조중동' '중조동' 운운하면서 늘 엮이는 '빅쓰리' 아니겠습니까? 이 중앙일보의 보도 윤리나 규칙이 이 정도라면 이제 더 이상 할 말이 없는 거지요.

5. 온갖 충격적인 영상과 이야기 들이 24/7 쉼없이 흘러가고, 중첩되고, 재방송되고, 증폭되고, 왜곡되거나 과장되는 부박한 대중문화에서, 그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우리 모두가 'schizophrenic', 정신분열증 상태로 내몰리고 있지는 않은가 근심합니다.

조지 오웰의 1984이 예측한 미래를 잘 아시지요? 하지만 올더스 헉슬리가 예측한 미래는 그에 견주면 훨씬 덜 알려져 있습니다. 지금 우리가 사는, 그리고 나아가는, 사회의 양상은 오웰쪽보다는 헉슬리의 예견에 더욱 더 가깝습니다. 소름이 끼칠 정도예요. 유명한 사회비평가이자 작가, 교육자, 커뮤니케이션 이론가인 닐 포스트먼(Neil Postman)의 문제작 'Amusing Ourselves to Death'에 나온 글을 대강 번역/번안해 올립니다. 한 번 감상해 보시지요:

"오웰이 우려한 사회는 사상이 불순하거나 문제가 있다고 여겨지는 책의 출판을 막는 사회였다. 헉슬리가 우려한 것은, 아무도 책을 읽지 않기 때문에 그게 어떤 종류의 책이든 판금할 이유가 없는 사회였다.

오웰이 두려워한 대상은 정보를 차단하는 권력이었다. 헉슬리가 두려워한 대상은 우리에게 너무나 많은 정보를 퍼부어 우리를 다만 수동적이고 무비판적으로 정보를 소비하는 이기주의자(원본은 passivity and egoism)로 전락시켜버리는 권력이었다.

오웰이 두려워한 것은 (권력이) 진실을 은폐하는 사회였다. 헉슬리가 두려워한 것은 온갖 허위와 쓰레기 정보에 빠져 진실이 익사해버리는 사회였다."

헉슬리는 우리 사회가 그야말로 사소하고 허접한 거짓 정보로 뒤덮인, 참을 수 없이 경박한 사회로 가는 것을 우려하면서, '온갖 눈요깃거리와 오락거리에 거의 속절없이 이끌리는 우리 인간의 본성'에 주목해야 한다고 경고했지요. 시덥잖은 '루저 발언' 파문 가지고 너무 많이 나가지 않았나 싶기도 하지만, 그 파문이 참 많은 생각거리를 제공한 에피소드인 것은 분명합니다.

사족: '루저'라는 말이 널리 쓰이는 것을 보면서, 한국어의 영어화가 참 많이 진행되었구나, 하고 느꼈습니다. 언어라는 게 결국은 그를 쓰는 이들, 그리고 그것이 쓰이는 사회와 함께 변화하고 진화 - 그게 늘 진보만은 아니라는 게 불행이지만 -하는 것이니까요...

                                                                 by 김 상 현